"대만에 불리하지 않다"는 관세...삼성전자, TSMC와 맞대결 본격화되나
컨텐츠 정보
- 65 조회
- 8 추천
- 목록
본문
[경주=뉴스핌] 서영욱 기자 = 미국과의 관세 협상 결과가 발표되자 반도체 업계는 삼성전자가 대만 TSMC와 동등한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대통령실이 밝힌 "대만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수준"이라는 발언은 삼성전자가 향후 미국 시장에서 TSMC와 같은 세율로 경쟁을 이어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대만의 반도체 관세가 아직 확정되지 않아, 업계에서는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다"는 신중론도 제기되고 있다.
![]() |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오른쪽)과 구광모 LG그룹 회장(오른쪽 두번째), 신동민 롯데그룹 회장(왼쪽 두번째)이 29일 경북 경주예술의전당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을 마친 뒤 이동하고 있다. [사진=APEC 2025 KOREA & 연합뉴스] |
29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대만은 지난 8월 1일부터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 올랐지만, 반도체는 국가 안보 관련 조사가 진행 중이어서 실제 관세율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현재 대만산 제품 전반에는 20%의 임시 관세가 적용 중이지만, 반도체는 최종 세율이 정해지지 않았다.
현재 미국 정부와 대만 정부는 반도체 관세를 둘러싸고 치열한 협상을 벌이고 있다. 미국 정부는 반도체 공급망 안보를 이유로 TSMC 측에 반도체 생산능력의 절반을 미국 내로 이전하라고 요구하고 있으나, 대만 정부는 공식 협상에서 해당 조건을 논의한 적도 없으며, 이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TSMC는 미국의 요구에 현지 투자도 늘린 상태다. 지난 3월 1000억 달러를 추가해 미국 내 반도체 제조 역량을 대폭 확장하기 위해 모두 165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3개의 새로운 제조 팹과 2개의 고급 패키징 시설, 대규모 R&D 센터 설립을 포함했다. 미국 정부가 보조금과 세제 혜택으로 지원하는 가운데, 최근 TSMC의 애리조나 공장에서 엔비디아의 최신 인공지능(AI) 칩 '블랙웰(Blackwell)'이 생산을 시작하면서 '메이드 인 USA' 반도체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다는 평가도 나왔다.
삼성전자도 미국 텍사스 테일러 지역의 반도체 생산 및 패키징 시설을 중심으로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있다. 미국 정부의 반도체 자국 내 생산 요구와 보조금 정책이 맞물리면서 당초 370억 달러로 줄였던 투자 계획도 다시 확대되어 500억 달러 이상 수준까지 늘어날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최근 삼성전자가 TSMC가 단독으로 맡을 것으로 알려졌던 테슬라의 자율주행용 'AI5' 칩 생산에 참여하기로 하면서 TSMC의 독점 구조를 깨고 '차세대 AI 반도체 경쟁'의 균형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 |
|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국립박물관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맞이하고 있다. [사진=APEC 2025 KOREA & 연합뉴스] |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미국 내 생산 능력 확대와 함께 삼성전자가 테슬라, 엔비디아 등 주요 고객사로부터 신규 주문을 확보하면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입지가 커지고 있다"며 "이번 관세 협상을 계기로 한국이 미국 시장 내 '전략 파트너국' 지위를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오는 30일 한국을 찾을 것으로 알려진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삼성전자와의 '빅딜'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현재 엔비디아의 차세대 AI칩인 고대역폭메모리(HBM)4를 납품하기 위한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미국 정부는 반도체와 첨단 부품을 중심으로 동맹국 중심의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 정부는 지난 7월 한미 통상협상을 통해 반도체·의약품 부문에 '최혜국 대우(MFN)'를 확보했다. 이는 미국이 향후 국가안보를 이유로 추가 관세를 부과하더라도 경쟁국 보다 불리한 세율을 적용받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다.
다만 반도체가 '국가안보 품목'으로 분류된 만큼 향후 미 상무부의 232조 조사 결과에 따라 세율 변동 가능성이 남아 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미국 내 생산 비중 확대가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미국 정부는 자국 내 생산 확대를 통상정책의 핵심 잣대로 삼고 있다"며 "삼성전자가 향후 투자 확대 폭과 시점을 어떻게 조정하느냐에 따라 관세 협상 결과도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자료
-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