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구조 전환 승인에 2027년 '대어급' IPO 기대감
컨텐츠 정보
- 94 조회
- 14 추천
- 목록
본문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챗GPT 로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오픈AI가 영리 회사로 구조 재편을 완료하자 월가에 2027년 기업공개(IPO) 기대감이 번지고 있다. 실제 상장이 이뤄질 경우 초대형 IPO 기록을 세울 가능성이 높아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약 2주 전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와 롭 본타 캘리포니아 법무장관이 전화 통화로 '빅 딜'을 이뤘다고 보도했다.
올트먼이 오픈AI의 본사를 캘리포니아에 계속 둘 것이라는 입장을 전했고, 본타는 업체의 영리 기업 전환을 승인한 것.
최근 수 개월 동안 올트먼은 오픈AI가 캘리포니아 경제의 심장부라는 사실을 강력하게 주장한 한편 영리 기업 전환을 승인하지 않을 경우 본사를 옮길 수 있다고 겁박 했다.
본타는 본래 비영리 자선 목적으로 설립된 오픈AI가 영리 기업으로 전환할 경우 공익의 배신이라는 입장이었다.
![]() |
| 오픈AI [자료=블룸버그] |
결론적으로 본타는 오픈AI의 캘리포니아 잔류 약속을 받아냈고, 비영리 재단의 감독을 지속할 수 있게 됐고 올트먼은 영리 기업 전환 승인을 얻어 냈다.
월가는 구조 전환의 승인에 따라 오픈AI의 2027년 IPO 길이 열렸다는 데 한 목소리를 낸다. 비영리 법인 형태로는 증시 상장이 불가능하기 때문.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몇 주 동안 샌프란시스코의 다니엘 루리 시장이 본타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오픈AI의 잔류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설명했다.
올트먼은 루리의 인수위원회에서 활동했고, 트럼프 대통령이 샌프란시스코에 연방군을 보내지 않도록 설득하는 데 도움을 준 기술 임원 그룹의 일원이었다.
보도에 따르면 오픈AI는 전 상원의원 라폰자 버틀러를 포함한 영향력 있는 민주당 인사들을 포섭해 구조 재편에 대한 지지 기반을 구축했다.
본타는 오픈AI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계획이었지만 업체와 몇 가지 핵심 합의점에 도달한 데 따라 이를 접었다고 소식통은 전한다.
오픈AI는 본타의 승인을 받는 대가로 비영리 재단의 감독 하에 남기로 했고, 기업 구조나 임무 변경 시 최소 3주 전 통지하기로 약속했다. 아울러 이사회의 독립성 보장 등 포괄적인 규칙을 수용했다.
오픈AI가 이처럼 논란이 많은 구조 전환을 추진한 가장 커다란 이유는 IPO 추진을 위한 포석을 마련하는 데 있다고 월가는 해석한다.
마이크로소프트(MSFT)를 포함해 오픈AI에 대규모 투자를 강행한 업체들 입장에서 투자 자금 회수의 가장 확실한 방법은 IPO이기 때문에 이들 투자자의 압박도 작지 않았다.
올트먼도 "IPO 가능성이 높다(likely)"고 말하며 상장 계획을 분명하게 밝혔다. 다만, 시기와 관련해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고 그는 말했다.
투자은행(IB) 업계가 오픈AI의 IPO 시기를 2027년으로 점치는 데는 몇 가지 구조적인 요인이 자리잡고 있다.
무엇보다 구조 전환 완료 시점이다. 2025년 말경 구조 전환 승인을 받은 업체가 실제 전환을 완료하고 영리 법인 체제를 안정화 하는 데 1년 가량 시간이 걸린다는 계산이다. 이 시기가 2026년 말 혹은 2027년 초라는 것.
일반적으로 IPO 준비 기간은 12~18개월 가량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형 기업의 경우 구조 정리부터 실사와 투자설명서 작성, 로드쇼까지 1년 이상 준비 작업이 필요하다.
이 밖에 월가는 AI 시장이 보다 성숙하고 오픈AI의 수익 모델이 한층 명확해지는 시점을 2027년으로 예상한다.
구글과 메타 플랫폼스 등 빅테크의 AI 경쟁 양상을 파악하고, 오픈AI의 차별성을 명확하게 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감안하더라도 2027년이 IPO에 적절한 때라는 결론이 나온다.
오픈AI가 IPO 추진을 위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지만 시기와 관련해 WSJ은 예비 단계(preliminary)라고 전했고, 더 늦어지거나 심지어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런데도 월가는 오픈AI의 상장이 현실에 한 발 다가섰다는 데 흥분하는 표정이다. 일단 규모가 역대급이 될 가능성이 높고, 마이크로소프트를 포함한 투자 업체의 주가에도 중대한 변수라는 얘기다.
한편 배런스를 포함한 주요 외신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가 보유한 오픈AI 지분은 1350억달러로 확인됐다.
그동안 투자자들의 뜨거운 관심에도 정확하게 드러나지 않았던 투자 규모가 마침내 밝혀진 것. 마이크로소프트가 보유한 영리 기업 지분은 27%로 파악됐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