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GAM]알파벳 AI 칩 시장 잠룡 ② 엔비디아 앞지르는 추론 강점

컨텐츠 정보

본문

이 기사는 10월 28일 오후 2시59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구글과 앤스로픽의 TPU 딜이 발표된 이후 알파벳(GOOGL) 주가의 상승 모멘텀이 두드러진다.

10여년 전 처음 개발한 TPU가 마침내 진가를 보여주기 시작했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면서 알파벳의 기업 가치를 둘러싼 낙관론이 번지는 모양새다.

DA 데이비드슨은 보고서를 내고 구글의 TPU 사업부와 딥마인드 AI 연구소를 합쳐 분사할 경우 기업 가치가 9000억달러에 이른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실제 분사 가능성이 거의 없지만 TPU의 몸값이 그만큼 높다는 얘기다.

제퍼리스는 최근 투자자 노트를 통해 "앤스로픽의 TPU 채택이 아마존의 맞춤형 트레이니엄(Trainium) 칩에 부정적인 신호"라고 주장했고, UBS는 보고서에서 "앤스로픽이 구글 클라우드를 핵심 컴퓨팅 공급 업체로 선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현재 앤스로픽은 클라우드 제공 업체로 아마존과 파트너십을 체결한 상태다. 이와 관련, S&P 글로벌 비저블 알파의 멜리사 오토 애널리스트는 마켓워치와 인터뷰에서 "전력과 컴퓨팅 자원에 대한 접근이 AI 생태계의 주요 제약 요인"이라며 "앞으로 업체간 제휴가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나스닥 시장에서 거래되는 알파벳 A주는 지난 10월21일(현지시각) 250.46달러에서 27일 269.27달러로 상승했다. 이날 장중 기준 주가는 270.14달러까지 오르며 52주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초 이후 상승률은 42.15%로 파악됐다.

c721d013b802ec8bf8223a5e06e57069-1.jpg
구글 로고 [사진=블룸버그]

최근 주가 강세에 대해 시장 전문가들은 앤스로픽과 계약이 TPU의 도입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부추긴 결과로 풀이한다.

UBS는 최근 보고서에서 "월가는 구글 클라우드의 3분기 매출이 35%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데 이는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성장 전망치인 18%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높은 수치"라고 전했다. 알파벳의 3분기 실적은 29일 장 마감 후에 공개된다.

c721d013b802ec8bf8223a5e06e57069-2.jpg
알파벳 A주 주가 추이 [자료=블룸버그]

JP모간은 보고서를 내고 알파벳의 목표주가를 260달러에서 300달러로 대폭 높여 잡았다. 최근 종가 대비 11.4% 상승 가능성을 예고한 수치다. 투자 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미국 법무부가 제기한 검색 사업 부문 크롬의 강제 매각 리스크가 해소된 데 이어 앤스로픽과 TPU 딜까지 대형 호재가 지속된 데 따른 결정이라고 JP모간은 설명했다.

구글이 AI 기술적 강점을 앞세워 유튜브 광고 매출과 구글 클라우드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보고서는 내다봤다.

제퍼리스는 알파벳의 목표주가를 230달러에서 285달러로 상향 조정하고 '매수' 투자 의견을 유지했다. AI 시장에서 업체의 입지가 견고해 졌다는 판단이다.

앞서 미국 투자 매체 배런스는 구글이 엔비디아 같은 사업체를 지니고 있지만 투자자들이 이를 충분히 인식하지 못해 주가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상태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알파벳이 자체 설계한 TPU는 AI 데이터센터에 투입돼 엔비디아의 제품들과 함께 작동하고, 업체의 딥마인드는 오픈AI와 견줄만 하다는 주장이다.

두 개 사업이 수천억 달러에 달하는 가치를 지녔고, 이는 앞으로 알파벳의 실적과 주가가 우상향 할 가능성을 예고하는 대목이라는 설명이다.

퓨처럼 리서치도 한 목소리를 냈다. 만약 알파벳의 TPU와 딥마인드가 독립적인 사업체라면 엄청난 가치를 평가 받을 것이라는 얘기다.

DA 데이비드슨 역시 구글 TPU가 엔비디아 GPU의 강력한 경쟁 제품으로 부상했다고 주장했다. 범용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지만 TPU가 엔비디아 GPU의 대체제로 최고라는 평가다. 보고서는 앞으로 9~12개월 이내에 두 제품의 격차가 크게 좁혀질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온라인 투자 매체 모틀리 풀은 엔비디아의 가장 강력한 경쟁 업체로 AMD를 포함한 반도체 업체가 아닌 알파벳을 지목했다.

시장의 무게 중심이 점차 AI 모델 훈련에서 AI 추론으로 옮겨 가면서 엔비디아의 GPU보다 구글 TPU가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다.

TPU는 구글 인프라에 맞게 특화 설계됐는데 지연 시간과 확장성, 비용 면에서 상대적인 강점을 지녔다고 매체는 설명한다.

알파벳이 맞춤형 AI 칩과 최고 수준의 클라우드 플랫폼, 여기에 종합 소프트웨어 플랫폼까지 모두 제공하는 수직 통합 구조를 갖춘 소수의 기업 중 하나라는 사실도 향후 시장 입지와 수익성을 낙관하게 하는 대목이다.

엔비디아가 AI 칩 시장을 장악하고 있지만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직접 제공하지 않는다. 특히 추론 시장에서는 가격과 지연 시간의 중요성이 크게 높아지는데, 이는 알파벳이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는 부분이다.

시장 배경도 알파벳에 유리하다고 모틀리 풀은 강조한다. AI 인프라에 대한 지출은 앞으로도 계속 강세를 보일 전망이고, 엔비디아는 전세계 데이터센터 설비투자가 2028년 1조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한다.

동시에 많은 전문가들은 추론 시장이 AI 모델 훈련 시장보다 더 커질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다. AI 추론은 모델 훈련보다 상대적으로 기술적 난이도가 낮아 엔비디아 CUDA의 이점을 약화시킬 수 있고, 때문에 GPU보다 단가가 낮고 가성비가 높은 칩을 찾는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알파벳이 AI 칩 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한 엔비디아를 제칠 가능성이 높지는 않지만 AI 추론 시장에서 소폭의 점유율 상승만으로도 구글 클라우드에 커다란 호재가 된다. TPU 사용이 곧 구글 클라우드 사용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최근 분기 구글 클라우드는 123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 동기에 비해 28%의 외형 성장을 나타냈다. 월가는 이와 함께 영업이익이 142% 급증한 데 커다란 의미를 둔다.

TPU는 신규 고객 유치 뿐 아니라 비용 절감 측면에서도 구글 클라우드의 수익성에 크게 힘을 실어준다고 모틀리 풀은 강조한다.

알파벳의 경쟁력은 칩에 제한되지 않는다. 업체는 TPU 전력 소모와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전광 스위치도 함께 개발했다. 이를 통해 업체는 시장에서 아직 충분히 평가받지 못한 강력한 운영 레버리지를 확보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알파벳 주가가 52주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저평가된 상태라고 판단한다. 2026년 예상 실적을 기준으로 한 주가수익률(PER)이 24배로, 빅테크 중에서 가장 저렴하다는 얘기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