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캐나다, 오랜 관세 부정행위…美 농가에 400% 관세 부과"
컨텐츠 정보
- 300 조회
- 27 추천
- 목록
본문
[워싱턴=뉴스핌] 박정우 특파원 = 캐나다와 관세 협상 중단을 전격 선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캐나다가 관세에서 부정행위를 저질렀다고 거듭 주장했다. 캐나다가 미국 농민들에게 최대 400%에 달하는 관세를 부과해왔다는 주장도 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에 올린 글에서 "캐나다가 속임수를 쓰다 들켰다!!! 그들은 로널드 레이건이 관세를 좋아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거짓 광고를 냈는데, 사실 그는 우리 나라와 국가 안보를 위해 관세를 매우 좋아했다"고 썼다. 이어 "캐나다는 우리 나라 역사상 가장 중요한 판결 중 하나에서 미국 대법원에 불법적으로 영향을 미치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날 밤 늦게 캐나다가 레이건 전 대통령이 관세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은 광고를 방영했다는 이유로 캐나다와의 무역 협상을 종료한다고 밝힌 뒤 비슷한 내용의 글을 또 올린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캐나다는 오랫동안 관세 문제에서 부정행위를 해왔으며, 우리 농민들에게 최대 400%에 달하는 관세를 부과해왔다"며 "이제 그들은 더 이상 미국을 이용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또 "이 사기를 폭로해준 로널드 레이건 재단에 감사드린다. 아메리카를 다시 위대하게 만들자!!!"는 말도 잊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의 캐나다와 관세협상 전격 중단 선언은 미국 보수층 내에서 여전히 영향력이 큰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의 라디오 연설 내용을 발췌해 제작한 TV 광고가 촉매제가 됐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정부가 제작한 이 광고에는 1987년 레이건 전 대통령이 "무역 장벽은 애국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 노동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피해를 준다"는 발언이 포함됐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지사는 미국 주요 방송 네트워크에 이 광고를 송출하기 위해 5300만 달러(761억 원)를 투입할 것이라고 밝힌 상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실제 레이전 전 대통령은 당시 연설에서 일본과 반도체 관련 무역 분쟁으로 일본 제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배경을 설명하면서 자유무역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밝혔다. 일본 반도체에 대한 관세 부과는 예외적인 조치였다며 전반적으로 관세와 무역 장벽을 낮추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 |
| 올해 6월 16일(현지시간) 캐나다 알버타주 카나나스키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담에서 참석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좌)이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를 보는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
하지만 로널드 레이건 재단은 해당 내용이 맥락을 왜곡했고 사전에 사용 허가를 받지 않았다며 법적 대응을 천명했다. 다만, 어떤 부분이 부정확한지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WSJ은 이번 광고 논란이 전통적으로 자유무역의 가치를 지지해온 공화당 내부에서도 반향을 일으켰다며 레이건 전 대통령이 미국 보수층에서 상징적인 자유무역주의 신봉자로, 그의 이름과 발언이 트럼프의 보호무역 노선과 대비되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지난해 미국과 캐나다 간 교역 규모는 9000억 달러(1293조 원)에 이르렀으며, 캐나다 수출의 약 77%가 미국을 향한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양국 간 자동차·철강 산업뿐 아니라 북미 전체 공급망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광고 논란으로 촉발된 양국의 감정싸움이 최근까지 진행중이던 미국과 캐나다 간 관세 조정을 위한 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