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삼중음성 유방암 '게임체인저' AZN ① 2030년까지 성장 호조
컨텐츠 정보
- 211 조회
- 29 추천
- 목록
본문
이 기사는 10월 23일 오후 3시4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영국계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AZN)가 유방암 가운데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삼중음성(triple negative) 신약 임상시험에서 눈에 띄는 결과물을 제시해 화제다.
치료제가 본격 출시, 최대 연간 매출에 도달하면 100억달러 규모의 실적을 올릴 것으로 경영진은 예상한다. 지난해 540억달러를 기록한 업체의 매출액이 2030년까지 800억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얘기다.
마켓워치를 포함한 주요 외신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 10월18~19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 종양학 컨퍼런스(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에서 유방암 치료를 위한 여러 약물의 성공적인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한 치료법은 '스마트 항암 화학 요법'으로 기존의 항암제에 비해 보다 정밀하고 표적화된 유형이다.
임상시험 결과 이들 약물은 유방암의 완화 및 제거에 의미 있는 진전을 보였고, 특히 가장 치료하기 어려운 유형에 해당하는 삼중음성 또는 완전음성 암 환자의 기대 수명을 실질적으로 연장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삼중음성은 유방암 치료에서 일반적으로 표적화되는 세 가지 수용체를 발현하지 않는 종양을 지칭한다.
업체가 이번 컨퍼런스에서 공개한 임상시험 결과 중 첫 번째는 허투(Her2) 양성 유방암, 즉 허투라는 단백질이 과발현된 형태의 유방암의 표적 치료제인 엔허투(Enhertu)를 연구한 DENSITY-Breast05로, 임상시험에서 상피내암(0기)부터 3기까지 유방암 환자들에게 제공되는 기존의 T-DM1 치료법과 비교해 재발 위험을 절반으로 줄인다는 결과가 나왔다.
![]() |
| 아스트라제네카 항암제 [사진=블룸버그] |
아스트라제네카가 일본의 다이이치 산쿄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개발한 약물 엔허투로 치료 받은 환자의 92% 이상이 3년 후 생존했고, 침습성 질환이 없는 상태를 유지했다.
두 번째 새로운 임상시험은 DENSITY-Breast11로, 수술 전 엔허투에 이어 파클리탁셀(T), 트라스투주맙(H), 퍼투주맙(P)으로 구성된 이른바 THP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임상시험에서 고위험 유방암 환자의 3분의 2가 병리학적 완전 반응, 즉 조직 샘플 검사에서 모든 암 징후의 부재 상태를 나타냈다고 업체는 보고했다. 이는 지금까지 가장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치료법에 비해 11%포인트 높은 효과에 해당한다.
![]() |
| 아스트라제네카 로고 [사진=블룸버그] |
마지막으로, 역시 다이이치 산쿄와 공동 개발한 다트로웨이(Datroway)를 사용한 TROPION-Breast02의 임상시험과 관련해 업체는 화학 요법과 비교해 유방암의 진행 또는 사망 위험을 43% 감소시켰다고 발표했다.
다트로웨이는 삼중음성 유방암 치료에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입증됐는데 진단을 받은 환자의 15%에 영향을 미치며, 기대 수명을 기존 약물보다 5개월 연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화합 요법보다 효과가 높고, 안전성 측면에서도 진일보 했다는 평가다.
아스트라제네카가 2030년까지 매출액을 800억달러까지 확대한다는 로드맵을 제시한 가운데 데이브 프레드릭슨 글로벌 종양학 부문 부사장은 엔허투와 다트로웨이 두 가지 약물만으로도 2030년까지 각각 50억달러씩 매출을 창출할 수 있다고 장담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아스트라제네카의 종양학 부문 매출액은 120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미 거대한 시장을 형성한 암 치료 분야에서 업체의 입지가 한층 견고해지는 모양새다.
업체는 2025년 들어 10월까지 월 평균 1회의 임상 3상 결과를 내놓는 등 실적과 주가 촉매제가 꼬리를 물고 있다. 2026년에도 굵직한 모멘텀이 이어질 것으로 업체는 예상한다.
10월 초 아스트라제네카와 일본 파트너 업체 다이이치 산쿄는 미국 식품의약청(FDA)이 유방암 치료 신약 가운데 하나인 엔허투에 대한 검토에 나섰다고 밝혔다. 신약 승인 기대감이 번지면서 두 업체의 주가는 강한 랠리를 연출했다.
보도에 따르면 FDA는 2026년 5월18일 심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미 특정 유형의 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엔허투는 상반기 22억9000만달러의 매출액을 올렸다.
1999년 4월 스위스의 아스트라와 영국의 제네카가 합병하면서 탄생한 아스트라제네카는 전세계 항암제 시장의 선도 기업 중 하나로, 특히 유방암을 포함한 정밀(precision), 표적(ADC) 항암제 분야에서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2025년 상반기까지 업체의 전체 매출액 가운데 항암제 부문의 비중이 약 41%를 차지했고, 1분기 매출액은 56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에 달하는 성장을 나타냈다.
현재 업체가 판매중이거나 임상 후기 단계인 대표 항암제로 엔허투를 포함해 총 7가지가 꼽힌다. ▲허투 양성 및 전이성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을 44% 개선시키는 것으로 확인된 엔허투와 ▲허투 음성이면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에 쓰이는 카미제스트란트(Camizestrant), ▲삼중음성 유방암과 비소세포폐암(NSCLC)에 쓰이는 다트로웨이, ▲폐암과 간암, 방광암 환자를 위한 항암제 임핀지(Imfinzi), ▲BRCA 유전자 변이 유방암과 난소암 치료제 린파자(Lynparza), ▲만성림프구성백혈병(CLL)과 비호지킨 림프종(MCL)에 쓰이는 칼큐엔스(Calquence), ▲허투 음성 및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 치료제 트루캅(Truqap) 등이다.
이 밖에도 아스트라제네카는 다중 암종 면역항암 복합제와 림프종 신약의 임상 후기 단계를 진행중이다. 업체의 항암 부문은 미국의 머크(MEK) 및 화이자(PFE)와 함께 전세계 톱3에 해당한다. 시장 전문가들은 향후 3년간 업체의 항암 부문이 연평균 9~11%의 매출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유방암 치료제 시장에서 아스트라제네카는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엔허투와 다트로웨이 등 차세대 ADC 계열 약물이 항암제 시장의 게임체인저라는 평가다. 이들 약물은 화이자와 노바티스, 로슈 등 주요 경쟁사들의 약품에 비해 높은 효능과 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주요 외신과 업계 전문가들은 2025년 업체가 유럽종양학회(ESMO)와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발표한 임상 결과를 통해 허투 양성 및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 분야에서 새로운 치료 표준을 제시했다고 강조한다.
항암제 이외에도 아스트라제네카는 광범위한 파이프라인을 구축했다. 종양학 이외에 업체는 호흡기와 심혈관∙신장∙대사질환(CVKM), 희귀 질환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 했다.
특히 천식과 비염, 비용종, 심각한 발작에 쓰이는 테즈파이어(Tezspire)와 당뇨병, 심부전, 만성신장질환(CKD) 치료제인 파시가(Farxiga)는 글로벌 블록버스터로 꼽힌다.
이와 함께 희귀 질환에 해당하는 호산구성 육아종성 혈관염(EGPA)와 혈색소뇨증(PNH) 치료제인 파센라(Fasenra)와 코로나19 및 인플루엔자 백신도 투자자들의 기대를 모으는 약품들이다.
월가는 엔허투와 카미제스트란트, 다트로웨이, 임핀지, 린파자 등 5개 정밀 항암제가 아스트라제네카의 중장기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한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