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코인 시황] 비트코인, 11만달러선 '재차' 붕괴… 투자심리 급속 냉각

컨텐츠 정보

본문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비트코인(BTC) 가격이 21일 다시 11만달러 선 아래로 떨어지며 투자심리가 급속히 위축됐다.

한국 시간 오후 8시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10만8293달러에 거래됐다. 전일 대비 2.5% 하락한 수준으로, 이달 초 12만6000달러까지 치솟았던 고점 대비 15% 가량 밀린 셈이다. 시총 2위인 이더리움(ETH)은 3874달러로 전장 대비 4% 가량 하락하고 있다.

솔라나(SOL)는 185달러로 3.5%, 도지(DOGE)는 0.19달러로 3.25% 각각 하락하고 있으며, BNB는 1074달러로 3.7%, XRP는 2.4달러로 1.3% 내리는 등 주요 알트코인도 일제히 내림세다.

61f62cf8fb24a16b4d983769941f7a61-1.jpg
비트코인.[사진=로이터 뉴스핌]

최근 비트코인은 시카고상품거래소(CME) 선물시장에서 형성된 갭 구간(10만9680~11만1310달러)을 메운 직후, 단기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매도세가 강화됐다. 시장에서는 "갭 메운 뒤 조정"이라는 기술적 패턴이 반복되면서 심리적 지지선인 10만달러 붕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말 13만달러 회복 가능" vs "투심 냉각 신호"

암호화폐 분석업체 렉트캐피탈은 "일봉 차트상 '강세 다이버전스'가 나타나고 있다"며 "연말까지 13만달러 회복이 가능하다"고 진단했다.

반면 온체인(블록체인 내부 데이터) 지표는 시장의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다.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세계 최대 거래소 바이낸스의 펀딩비율이 최근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이는 비트코인 선물 시장에서 매수 포지션보다 매도 포지션이 많아졌다는 뜻으로, 과거 가격이 저점을 형성하기 직전에 종종 나타나던 현상이다. 시장 참여자들이 단기 조정에 대비해 리스크를 줄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다른 지표도 냉각 조짐을 뒷받침한다. 글로벌 거래소 전반의 비트코인 보유량은 약 230만 BTC로 집계돼, 6년 만에 최저 수준까지 감소했다.

이는 장기 투자자들의 '홀딩(보유)' 성향이 강화되면서 매도 압력이 줄었다는 긍정적 신호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시장 내 거래량 자체가 위축되고 유동성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에서 시장 활력이 떨어졌다는 경고 신호로도 해석된다.

거시환경은 "양면성"…금리 인하 기대 vs 셧다운·무역 리스크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시장은 오는 28~29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의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98.9%로 반영 중이다. 이는 비트코인 등 위험자산에 단기적 '훈풍'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미·중 무역 갈등과 미 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 장기화가 여전히 투자심리를 짓누르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거래소 VALR의 파르잠 에하사니 최고경영자(CEO)는 "투자자들이 점점 비트코인과 금을 동일한 '안전자산'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금이 최근 28% 상승하는 동안 비트코인은 4.4% 하락했다"고 지적했다.

기술적 관전 포인트…EMA·RSI 모두 '경계 구간'

비트코인의 50일 지수이동평균선(EMA)은 현재 11만3253달러 부근이다. 이 선을 상향 돌파하지 못하면 상승세 복원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RSI(상대강도지수)도 44 수준으로, 매수세 약화를 시사한다. 단기적으로는 11만달러선 이탈 시 10만4582달러 지지선이 다음 방어선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거래량도 둔화했다. 현물 거래량은 지난해 대비 42% 감소했고, 유통 가능한 비트코인 공급량은 전체의 25%에 불과하다.

온체인데이터 애널리스트인 크립토 댄은 "지금은 과열기보다는 '냉각기'로, 투기적 열기가 빠진 상태"라며 "금리 인하 등 거시 촉매가 향후 반등의 트리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장 심리 '공포' 전환…9월 CPI 주목

바이낸스 공포·탐욕지수는 33으로 내려앉아 시장 전반의 불안감을 반영했다.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도 지난주 12억달러(1조 7172억 원) 규모 자금이 유출, 기관투자자의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 시장 데이터업체 소소벨류(SoSoValue)에 따르면, 이는 2024년 1월 출시 이후 두 번째로 큰 주간 순유출 규모다. 

시장의 시선은 오는 24일(금요일) 발표될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로 쏠린다. 이번 CPI는 10월 1일 셧다운 이후 처음 공개되는 물가 지표로, 2018년 이후 처음 금요일에 발표된다. 연준의 금리 방향성과 함께 비트코인이 10만달러선을 지킬 수 있을지를 가늠하는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