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인도, 美 원유 수입 늘릴 수 있지만 증가 폭 제한적...러산 구매 중단 어려워"

컨텐츠 정보

본문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인도가 미국과의 무역 협상 타결을 위해 미국산 에너지 및 가스 구매 확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미국산 원유 구매 확대는 '비용'에 달려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6일(현지 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인도 상무부 고위 관계자를 인용, 인도가 150억 달러(약 21조 2760억원) 상당의 미국산 원유를 추가 구매할 수 있는 여력이 있다고 보도했다. 원유 등 에너지 구매 확대를 통해 대미 흑자를 줄임으로써 미국과의 무역 협상 속도를 높여 합의에 도달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라제시 아그라왈 인도 상무부 차관 겸 수석 협상관에 따르면, 인도의 2024/25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 기준 미국산 원유 수입액은 120억~130억 달러로 나타났다.

아그라왈 차관은 "현재의 정유소 생산능력을 봤을 때 140억~150억 달러(어치의 원유)가 더 투입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7b3938dda1511820dcef106202077336-1.jpg
지난 2월13일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만났다.[사진=로이터 뉴스핌]

우선 인도는 저렴한 가격에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하고 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며 전쟁이 막 시작됐던 때보다 할인율이 낮아졌음에도 러시아산 원유는 인도 정유 업계에 있어 가장 경제적인 선택지로 꼽힌다.

이코노믹 타임스(ET)에 따르면, 러시아산 원유의 할인폭은 2022/23회계연도에 배럴당 19~20달러를 상회하던 것에서 현재 배럴당 3.5~5달러 수준으로 낮아졌다.

BBC는 "러시아산 원유는 2022/23회계연도(2022년 4월~2023년 3월) 평균 14.1% 할인됐고, 2023/24회계연도에는 10.4% 할인됐다"며 "인도는 연간 약 50억 달러를 절감할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인도 최대 국영 정유사인 바라트 페트롤리엄 코퍼레이션(BPCL)의 베차 라마크리슈나 굽타 재무 담당 이사는 "BPCL은 현재 원유 수입량의 10~12%를 미국에 의존하고 있다"며 "미국산 원유 수입 확대 여부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 정부 입장에서도 러시아산 원유는 중요한 자원이다. 저가에 원유를 조달함으로써 지난 몇 년간 국내 유가를 동결했고, 이를 통해 인플레이션을 성공적으로 통제할 수 있었다.

ET는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질 경우 인도는 연간 30억~50억 달러(약 4조 2705억~7조 1175억원)의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며 이로 인해 재정적 부담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운송비 면에서도 러시아산 원유가 경제적이다. 인도 정유 업계에 따르면, 미국산 원유가 인도 해안까지 도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45~50일로, 러시아로부터의 수입에 걸리는 30~45일보다 최대 20일 오래 걸린다.

업계는 또한 기술적 측면에서는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중단하고 미국산 등 구매를 늘릴 수 있지만, 이러한 전환에는 중대한 경제적·전략적 비용이 수반된다고 분석한다.

러시아 원유의 경우 인도의 정제 시스템과 호환성이 뛰어나 증류 수율이 높고, 이에 따라 국영 및 민간 정유업체들에 높은 마진을 제공한다. 반면, 미국산 원유는 경질유로서 디젤 수율이 낮아 디젤 중심의 인도 수요에 불리하다.

인도 싱크탱크 글로벌 무역 리서치 이니셔티브(GTRI)의 아자이 스리바스타바는 "대부분의 인도 정유소는 러시아 원유와 유사한 중질유 등급에 맞춰 설계돼 있다"며 "이러한 정유 시스템을 미국산 경질유에 맞춰 조정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들고, 경유 및 항공유 생산량이 감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스리바스타바는 "저가의 러시아산 원유를 계속 사용하면 미국의 보복이 있을 수 있고, 미국산 등으로 전환하면 인도 국내 연료 가격 상승 위험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인도가 딜레마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원자재·물류 데이터 제공 기업 케플러(Kpler)는 "인도는 미국산 원유 수입량을 늘릴 수 있지만 추가 구매량은 일평균 약 40만~50만 배럴로 제한될 것"이라며 "원유 가격·물류비·인도 정유 시스템과의 호환성 등을 고려할 때 미국산 원유로의 실질적인 전환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케플러는 "인도가 미국산 에너지 구매를 늘리고자 한다면 액화천연가스(LNG)나 액화석유가스(LPG)가 바람직한 선택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7b3938dda1511820dcef106202077336-2.jpg
지난 2018년 11월 30일(현지 시간) 남미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G20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함께 있는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인도는 세계 3위의 원유 수입국이자 소비국이다. 하루 약 550만 배럴의 원유 소비량 중 8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러시아와 전통적 우호 관계인 인도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 제재 등으로 판로가 막힌 러시아산 원유를 저가에 대거 수입하며 중국에 이어 러시아산 원유의 제2대 수입국이 됐다.

BBC가 인용한 자료에 따르면,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량은 2021/22회계연도(2021년 4월~2022년 3월)의 400만 톤에서 2024/25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 8700만 톤으로 무려 200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의 지난해 러시아산 원유 수입액은 약 527억 달러(약 74조 8604억원)로, 전체 원유 수입액의 약 37%를 차지했다.

인도의 9월 원유 수입량은 일평균 약 470만 배럴로, 전월 대비 22만 배럴 증가했다. 러시아산 원유 수입량은 일평균 약 160만 배럴로, 전체 수입 원유의 약 34%를 차지했다. 다만 9월의 일평균 러시아산 원유 수입량은 올해 상반기 평균치 대비 약 16만 배럴 줄어들었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