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부산에서 만난 트럼프와 시진핑···무역 갈등 봉합에 한국 '안도'

컨텐츠 정보

본문

[서울=뉴스핌] 유신모 외교전문기자 = 미국과 중국은 30일 김해국제공항 의전실 나래마루에서 열린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세계 경제를 혼돈에 빠뜨린 6개월 간의 무역 전쟁을 봉합한 것으로 보인다.

미·중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줄곧 고율 관세와 무역 통제 조치를 주고받으며 치열하게 대립해왔다.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두 사람의 첫 대면 회담은 앞으로 수년 간의 미·중 관계 흐름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회담으로 전세계가 주목한 대형 외교 이벤트였다.

88b0ee4c48780f63aac3be9afa6e5c21-1.jpg
[부산 로이터=뉴스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부산 김해국제공항 나래마루에서 정상회담을 앞두고 악수를 하고 있다. 2025.10.30 [email protected]

회담에서 결정된 구체적 결과는 즉각 공개되지 않았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뒤 에어포스원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양측이 일정한 합의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희토류 공급과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재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 미국은 펜타닐을 포함해 대중국 관세를 10% 포인트 인하하기로 중국과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내년 4월 중국을 방문하고, 이후 시 주석이 미국을 답방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에 따르면 미·중은 관세 부과와 희토류 수출 통제 등 갈등의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합의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중국 언론도 회담 전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1년간 유예하고 미국산 대두를 다시 구매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희토류 수출 통제 유예 기간이나 대두 구매량 등 구체적인 숫자는 이야기하지 않았다.

중국 외교부는 회담 결과 자료에서 시 주석이 "양국의 국정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의견 차이가 있는 것은 피할 수 없다"며 "바람과 파도, 도전에 직면하더라도 양국 정상은 키를 잡은 사람으로서 올바른 방향을 파악하고 대국적인 국면을 조율하여, 중미 관계라는 이 거대한 배가 안정적으로 전진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시 주석은 또 "중국 경제는 바다와 같아서 그 규모와 회복력, 잠재력이 모두 크며 우리는 각종 위험과 도전에 대응할 자신과 능력이 있다"고 말했다. 미국과 싸울 뜻은 없지만 도전을 피하지도 않겠다는 자신감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양측은 이번 회담에서 미·중 관계를 다시 궤도 위에 올려 경제협력을 복원하고 전략경쟁을 조율하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평가된다. 무역전쟁을 계속하는 것은 양측 모두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라는데 공감하고 확전을 자제하기로 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중 무역전쟁이 조정기로 접어들 가능성이 커지면서 세계는 이번 회담 결과에 안도하고 있다. 한국도 미·중 갈등 봉합으로 외교적 운신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만일 이번 미·중 정상회담에서 갈등 현안이 해결되지 않고 충돌하는 모습을 보였다면 한·미 관계와 한·중 관계에서 모두 큰 부담을 가질 수 밖에 없었을 것"이라며 "1일 예정된 한·중 정상회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88b0ee4c48780f63aac3be9afa6e5c21-2.jpg
[부산 로이터=뉴스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 부산 김해국제공항 나래마루에서 열린 시진핑 미중 정상회담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5.10.30 [email protected]

이날 미·중 정상회담에서는 경제 문제 외에 안보 현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회담에서 "대만 문제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고 밝혔다. 양측이 경제 문제에 집중하기 위해 껄끄러운 주제에 대한 논의를 회피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외교부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대만에 대한 강경한 입장이 조금 누그러진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면서 "한국에게는 나쁘지 않은 변화"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기자 간담회에서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대화에 강한 의욕을 보인 것도 눈길을 끌었다. 이 때문에 내년 4월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계기로 북·미 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기대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