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GAM]2026년 AI 생태계 구축 본격화① '제2성장' 기대 '中 샤오펑'

컨텐츠 정보

본문

이 기사는 10월 17일 오후 3시55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휴머노이드 로봇은 향후 2~5년 안에 전세계 수많은 산업에 투입되고, 10~20년 안에 모든 가정 내에 거대한 변혁을 불러올 것이다. 샤오펑은 2026년 플라잉카의 정식 양산에 돌입할 것이며, 플라잉카(Flying Car)의 성장 속도와 점유율은 자동차 시장을 훨씬 넘어설 것이다"

중국 신흥 전기차 제조사 샤오펑모터스(小鵬汽車·XPEV, 9868.HK)의 허샤오펑(何小鵬) 회장이 10월 16일~18일 상하이시에서 개최된 '2025년 지속 가능한 글로벌 리더 컨퍼런스(可持續全球領導者大會, Sustainability Global Leaders Conference)'에서 한 발언이다.

해당 발언에는 2026년 샤오펑의 산업 로드맵이 '휴머노이드 로봇'과 '플라잉카'의 양대 산업에 집중될 것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본업인 전기차 사업은 국내를 넘어 해외시장으로 빠르게 지형도를 넓혀가고 있고, 최근 출시한 '최신형 P7' 모델을 통해 제품 경쟁력을 또 한번 인정받았다. 여기에 로보택시(Robotaxi), 전기수직이착륙비행기(eVTOL)로 대변되는 저공경제(低空經濟, 유인주행 또는 무인자율주행 항공기의 저공 비행을 견인차로 하여 연계 산업의 발전을 이끌어내는 경제) 사업, 휴머노이드 로봇,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 칩 등의 AI 제품라인을 구축하며 기업가치 확장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주목된다.

45ecf0972e8b1e3e7fbe1620a2e50c5d-1.jpg
[사진 = 샤오펑 공식 홈페이지] 중국 샤오펑모터스(小鵬汽車·XPEV, 9868.HK)의 AI 제품라인 관련 이미지.

◆ AI 라인업1. 국내외 고속질주 '전기차'

① 인도량 신기록, 제품라인 지속 강화

샤오펑은 9월 월간 판매량에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9월 한 달 동안 4만1581대를 인도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95%, 전월 대비 10% 증가한 수치다. 1~9월 누적 판매량은 31만3196대로 전년 동기 대비 218%의 성장률을 기록한 동시에, 중국 신생 완성차 제조사 중 3위를 기록했다.

특히 입문자형(entry level, 보급형) 'MONA M03' 모델은 지난달 한 달간 1만대 이상 인도됐고, 누적 인도량은 18만 대를 돌파하며 3분기 실적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45ecf0972e8b1e3e7fbe1620a2e50c5d-2.jpg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10.17 [email protected]

현재 샤오펑이 출시한 전기차 모델을 시기별로 정리해보면 2018년 12월 G3를 시작으로 P7/P7i(2020.07), P5(2021.09), G9(2022.09), G6(2023.06), X9(2024.01), 샤오펑 산하의 전기차 브랜드 모나(MONA)의 M03(2024.08), P7+(2024.11), G7(2025.07), 최신형 P7(2025.08)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가장 최신 모델로 8월 27일 출시된 '최신형 P7'는 출시 7분 만에 주문 1만 대를 돌파했다. 총 네 가지 버전으로 출시됐으며 가격대는 21만9800~30만1800 위안으로, 중고급 순수전기차(BEV) 시장을 겨냥해 출시됐다. 

45ecf0972e8b1e3e7fbe1620a2e50c5d-3.jpg
[사진 = 샤오펑 공식 홈페이지] 2025년 8월 29일 열린 '제28회 청두국제모터쇼'에 전시된 '최신형 샤오펑 P7' 모델.

최신형 P7 모델에는 샤오펑이 자체 개발한 '투링(圖靈∙Turing)' AI칩 3개가 기본 탑재되었으며, 총 연산 능력은 2250 TOPS(초당 2250조 회로 연산)로 업계 플래그십 모델 대비 26배 높은 수준이다.

제로백(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3.7초, 최고 시속은 230km/h에 달한다. CLTC(China Light-Duty Vehicle Test Cycle, 중국의 항속거리 측정 표준) 기준 최장 주행거리는 820km이며, 전 영역 800V 및 5C(Capacity) 초급속 충전 기술을 적용해 10분 충전으로 525km 주행이 가능하다.

샤오펑이 자체 개발한 '빙설(冰雪) AES'를 탑재, 업계에서 유일하게 낮은 노면 마찰 계수를 가진 도로에서도 대응 가능한 시스템을 갖췄다. '빙설 AES'는 얼거나 젖은 도로 등 접지력이 낮은 노면 조건에서 방향전환 매커니즘을 통해 긴급회피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차량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2026년 1분기 샤오펑은 기존 X9, G7, G6, P7+의 네 가지 모델을 업그레이드 한 '주행거리 확장형 전기차(EREV)' 제품 라인을 출시할 예정이다.

샤오펑 측이 소개한 바에 따르면, 이들 4가지 모델의 EREV 신제품에는 전구간 800V 고압 SiC 전기구동 플랫폼 아키텍처와 5C초급속 충전 AI 배터리가 탑재된다. 1.5T 엔진과 전기 모터로 구성된 증강형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적용되며, 엔진 최고출력은 110kW, 모터 최고출력은 218kW 수준이다.

샤오펑은 제품 라인업을 강화하는 동시에 충전 인프라 확충에도 발 빠르게 나서고 있다.

현재 샤오펑 매장은 전국 224개 도시에 677개가 들어서 있다. 자체 운영 충전소는 2348곳, 그 중 초급속 충전소는 1304곳에 달한다. 샤오펑은 2026년까지 자체 충전소 1만 곳을 구축해, 420개 이상 도시를 커버한다는 목표도 설정한 상태다.  

② 전기차 산업의 강력한 변주 '로보택시'

샤오펑은 로보택시(Robotaxi) 분야에서도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2026년 로보택시 상용화를 추진해 L4 수준(고도 자동화 단계)의 저속 구간 무인 자율주행차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샤오펑 G7 울트라(Ultra)' 모델은 로보택시와 동일한 구조가 적용됐다. 자체 개발한 '투링(圖靈∙Turing)' AI칩을 비롯해, 720B 매개변수의 VLA(시각-언어-행동) 대형 모델을 적용해 클라우드에서 차량 단말까지의 연산 생태계 완성도를 높였다.

45ecf0972e8b1e3e7fbe1620a2e50c5d-4.jpg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10.17 [email protected]

중국상업산업연구원(中商產業研究院)에 따르면 중국 자율주행 시장 규모는 2024년 3993억 위안에서 2025년 4495억 위안(약 88조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추산된다. 

또 다른 2025년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스마트 커넥티드카 시장 규모는 2860억 위안을 돌파하며 전년 대비 24.5%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또한 L2급(부분 자동화 단계) 자율주행 차량 보급률은 45%를 넘어설 것으로 보이며, L3급(조건부 자동화 단계) 차량 모델 출하량은 약 21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2026년 AI 생태계 구축 본격화②③ '제2성장' 기대 '中 샤오펑'>으로 이어짐.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