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가 관세 회피했다고? "美 당국, 단순 계산 오류로 결론"
컨텐츠 정보
- 139 조회
- 11 추천
- 목록
본문
[서울=뉴스핌] 오상용 기자 =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세탁기 등을 미국에 들여오면서 수입 가격을 실제보다 축소 신고해 관세를 회피했다는 미국 가전업체 월풀의 주장이 미국 당국의 조사 결과 근거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지시간 15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월풀이 제기한 해외 가전업체의 광범위한 관세 회피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월풀(종목코드: WHR)은 수입산 세탁기 등 해외 가전제품의 신고 세관 가격이 지난 6월부터 급격히 하락했다는 데이터를 근거로 의도적인 관세 회피가 자행되고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당시 월풀은 올 들어 5월까지 평균 838달러였던 한국산 세탁기의 신고 가격이 6월 이후 73달러로 떨어졌다는 통계를 제시한 바 있다.
신고 가격이 낮게 책정되면 관세 부과액도 그만큼 줄게 되는데, 월풀은 이를 삼성전자와 LG전자, GE 어플라이언스 모회사인 중국 하이얼 등 해외 가전업체의 관세 회피 행위라고 주장하며 당국에 우려를 전한 바 있다.
그러나 당국이 파악한 결과, 이는 고의적인 관세 회피가 아니라 단순한 데이티 입력 오류였다.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신설된 철강관세로 인해 보고 절차가 복잡해지면서 통관 중개상과 수입업자가 가전제품의 수입량을 과다 입력, 대당 가격이 과소 계산된 실수가 있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WSJ는 전했다.
한편 월풀의 문제 제기 후 일부 수입 데이터가 수정됐지만, 월풀은 여전히 (이들 데이터는) 신고 세관 가격의 급격한 하락 양상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또 자신들이 추가로 제기한 우려 사항에 대해 당국은 아직 답을 내놓지 않았다고 밝혔다.
LG전자와 삼성전자는 WSJ의 코멘트 요청에 즉각 응하지 않았다.
![]() |
월풀 세탁기 [사진=업체 홈페이지]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