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시진핑, 관세·희토류 한발씩 양보...대두 수입도 재개
컨텐츠 정보
- 65 조회
- 16 추천
- 목록
본문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을 "매우 훌륭했다"고 평가하며, 대(對)중국 관세를 종전보다 10%포인트 낮추기로 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그 대가로 향후 1년간 희토류 수출을 지속하는 한편 미국산 대두 수입을 재개하기로 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귀국길 전용기(에어포스원) 안에서 기자들에게 "시 주석과의 회담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여러 가지 중요한 결정이 내려졌다"고 전했다.
그는 "중국의 미국산 대두 구매가 즉시 재개될 것"이라며 "시 주석이 펜타닐의 미국 유입 차단을 위해 매우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른바 '펜타닐 관세'를 현행 20%에서 10%로 낮춰 대중 관세는 57%에서 47%로 인하할 것"이라고 알렸다.
![]() |
| 30일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양자 회담 후 인사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로이터 뉴스핌] |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문제도 논의했다며 "중국이 엔비디아를 비롯한 여러 기업과 반도체 도입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면서도 "엔비디아의 블랙웰 칩과 관련된 내용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또한 "희토류 문제는 해결됐다"며 "중국은 1년간 희토류 수출을 계속할 것이며, 이 합의는 연장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년 4월 중국을 방문할 예정이며, 이후 시 주석이 미국을 찾게 될 것"이라며 양국 정상이 상호 방문하는 '셔틀외교' 계획도 언급했다.
두 정상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평화적 해결 방안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함께 우크라이나 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회담 직전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국방부에 핵무기 실험 재개를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다른 나라들도 하는 만큼, 우리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회담을 "10점 만점에 12점"이라며 기대 이상으로 만족스러웠다고 평가했다. 다만 대만 문제는 이번 회담에서 논의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번 방한 기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지 못한 데 대해서는 "내가 너무 바빴기 때문"이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그는 "김 위원장을 만나기 위해서라면 다시 한국을 방문하겠다"고 말하고, "(북한의) 비핵화를 보고 싶다. 러시아와도 이 문제를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러시아와의 구체적인 협의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 |
| 30일 본격 회담 전 취재진에게 모두발언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우)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
◆ 6년 만의 미·중 정상 대면…표정은 '냉정'
이번 미·중 정상회담은 이날 오전 11시께 부산 김해국제공항 나래마루에서 열렸다.
양국 정상이 마주 앉은 것은 2019년 일본 오사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이후 약 6년 4개월 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을 "위대한 나라의 위대한 지도자"라고 치켜세웠고, 시 주석은 "세계 평화를 위해 노력해왔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역할을 평가하는 등 서로 덕담을 주고받았지만, '뼈있는' 말도 포착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을 "강경하고 쉽지 않은(tough) 협상가"라고 표현해 그가 쉽게 양보하지 않는 인물임을 시사했다.
시 주석은 "우리가 항상 동의했던 것만은 아니다. 이는 매우 정상적인 관계다. 세계 경제 대국이 가끔 갈등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나는 지난 몇 년 동안 공공연하게 말해 왔다. 중국과 미국은 파트너와 친구여야 한다고"라고 해, 갈등을 야기하는 쪽은 미국이란 점을 에둘러 표현했다.
두 정상끼리 만나 웃으며 회담장을 나서는 '화기애애한 장면'은 연출되지 않았다. 회담 직후 양국 정상은 별도의 공동발표 없이 곧장 귀국길에 올랐다.
이날 회담은 참모진이 나란히 배석한 확대회담 형식으로 진행돼, 일각에서는 "양국이 일부 쟁점을 끝내 조율하지 못한 상황에서 회담을 강행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귀국행 전용기 안에서 일련의 합의가 도출됐음을 알렸다.
![]() |
| 30일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이륙하는 에어포스원. [사진=로이터 뉴스핌]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