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로 반등 성공' LG엔솔, 4Q 실적 약화 불가피
컨텐츠 정보
- 159 조회
- 26 추천
- 목록
본문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LG에너지솔루션이 3분기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의 성장세 덕분에 전기차(EV) 수요 정체(캐즘)로 인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완화했다. 하지만 4분기에는 미국의 전기차 구매 보조금이 종료되면서 EV 매출 감소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LG에너지솔루션은 4분기에도 ESS를 중심으로 사업 구조 다각화와 수익성 방어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3Q, ESS 역할 '톡톡'
LG에너지솔루션이 30일 오전 실적설명회를 열고 올해 3분기 매출 5조6999억원, 영업이익 6013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 |
| [자료=LG에너지솔루션] |
매출은 전년 동기(6조8778억원) 대비 17.1% 감소, 전기(5조5654억원) 대비 2.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4483억원) 대비 34.1%, 전기(4922억원) 대비 22.2% 증가했다. 3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된 북미 생산 보조금 (IRA Tax Credit) 금액은 3655억 원이다. 이를 제외한 3분기 영업이익은 2358억 원이다.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은 "9월 말 미국 전기차 구매 보조금 영향 등으로 EV향 파우치 사업의 매출은 감소했으나 ESS사업의 큰 폭의 성장, 소형 사업의 견조한 매출이 이를 상쇄하며 전 분기 대비 2.4% 증가했다"며 "손익의 경우 ESS와 소형 사업 출하량 증가와 전사 차원의 비용 절감 노력 등이 반영되어 북미 생산 보조금 감소에도 불구하고 개선된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ESS 수주는 최근 증가하는 추세다. 3분기 미국 주택용 ESS 기업과 6년간 13GWh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전력망용 ESS 고객들과도 대규모 프로젝트 계약을 성사시켰다. 현재 수주잔고는 120GWh로, 전 분기 대비 두 배 이상 늘었다.
EV 사업에서는 원통형 46시리즈 수주가 빠르게 증가하며 누적 수주잔고가 300GWh를 넘어 향후 안정적 매출 기반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기술력 강화 성과도 눈에 띈다. KAIST 연구팀과 협력해 리튬메탈전지 충전 속도를 세계 최초로 혁신적으로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운영 측면에서는 스텔란티스와 합작법인 넥스트스타 에너지의 셀 양산을 완료하며 북미 시장 대응력을 강화했으며, ESS 생산 전환도 검토 중이다. 공급망 안정성 확보를 위해 미국 내 LFP(리튬인산철) 셀 생산에 필요한 탄산리튬을 최대 4만 톤 규모로 확보했다.
◆4분기 EV 부진 불가피…"ESS로 수익성 유지"
4분기부터 미국 전기차 보조금 소멸로 EV 배터리 물량 감소가 예상된다. LG에너지솔루션 측은 "미국 EV 보조금 종료로 EV향 배터리 물량 감소가 불가피하지만, ESS 수요가 견조하고 미시간 공장 확대 양산으로 실기하지 않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북미 EV 고수익 제품 출하 감소와 조지아 공장의 일시적 운영 차질로 손익은 다소 낮아질 전망이다.
내년 전략 역시 ESS 중심이다. 북미는 EV 수요 둔화가 예상되지만, 현지 생산 역량을 최대 활용해 ESS 수요에 대응한다. 북미 ESS 시장은 빅테크 투자 확대와 청정에너지 세액공제 유지로 2024~2028년 연평균 성장률 20%를 상회할 전망이며, 유럽 역시 신재생 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안보 강화로 ESS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현지 LFP 제품 생산 유일 기업으로, 글로벌 유틸리티와 대규모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하며 수주 경쟁에서 선제적 위치를 확보했다. 이미 약 120GWh 육박하는 수주잔고를 보유하고 있으며 신규·기존 고객들과 추가 계약 논의가 활발하다. 운영 유지보수 역량과 SI 제공 능력, 북미 프로젝트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ESS 수주 모멘텀을 이어갈 계획이다.
북미 EV 수요 근본 회복은 2027년 이후로 예상된다. LG에너지솔루션 측은 "전기차 보조금 종료 후 당분간 북미 EV 수요 둔화가 이어질 것"이라며 "내년 혼다·현대차 JV 신차향 물량 공급을 통해 안정적 양산으로 수요 상황을 극복하고, 근본적 회복은 2027년 중저가 EV 라인업 출시 이후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생산 전략은 신규 공장 건설보다 기존 캐파 활용 극대화에 집중할 방침이다. 미시간 ESS 램프업을 조기 안정화하고, 연내 양산 예정이던 신규 JV는 양산 시점 조정으로 유휴라인을 ESS 양산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오창 공장의 46시리즈는 4분기 본격 양산되며 올해 일부 매출 기대된다.
각형은 오창 파일럿 라인에서 고객 샘플 대응 중이며, LMR(리튬망간리치)은 EV 시장 요구에 맞춰 개발 중으로 두 제품 모두 2027년 말~2028년 양산 예정이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최고경영자(CEO) 사장은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도 축적된 제품·기술 경쟁력과 체질 개선 노력을 통해 유의미한 성과를 달성했다"며 "앞으로도 도전과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고객가치 실현과 미래 성장을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