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트럼프, 대미 투자 韓 기업 위한 새 전문직 비자 도입 시사

컨텐츠 정보

본문

[워싱턴=뉴스핌] 박정우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7일 한국의 대미 투자와 관련해 필수 인력을 위한 새로운 비자 제도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 달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 대한 미 이민 당국의 급습 이후 논의중인 우리 기술진의 미국 방문과 근무를 위한 비자 문제 해결에 속도가 붙을지 주목된다. 

백악관 풀기자단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말레이시아 방문을 끝마치고 일본으로 향하는 전용기, 웨어포스원에서 '한국이 대미 투자 기금의 일환으로 비자 보장을 요구하고 있느냐'고 묻는 취재진에게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외국 기업들이 기술 이전과 공장 운영을 위해 필 인력을 일정 기간 미국에 파견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비자 제도를 준비 중이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으로 들어오는 많은 공장들이 외국 자본에 의해 건설되고 있다"며 "이들 가운데 일부는 매우 복잡하고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장비를 생산하기 때문에(When they come in, some of these factories make very, very complex, very highly sophisticated equipment), 일정 기간 동안 외국 전문가들이 함께 들어와야 한다(They've gotta bring people in with them for a period of time)"고 말했다. 그는 "이 전문가들이 우리 (미국) 근로자들에게 기술을 전수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그들의 전문성이 요구된다(They'll teach our people how to do it. But even for a fairly long period of time, they're gonna need expertise to be successful)"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외 기술진이 '어떤 비자로 입국하느냐'는 추가 질문에는 "그 부분에 대해서는 완전히 새로운 계획을 세우고 있다(We're doing a whole new plan for that)"고만 답하고 비자 카테고리 등 구체적인 세부 사항은 언급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최근 한국과 미국 간 대규모 투자 협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나왔다.

0a5c0e4d96ca3fbc1712f8a103593bc2-1.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 말레이시아를 떠나 일본으로 향하던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한국 기업들의 반도체와 배터리 분야 미국 투자 확대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숙련된 기술 인력의 미국 파견 문제는 양국 협력 확대를 위해 시급히 해결해야 할 핵심 사안으로 꼽힌다는 지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대로 한국인 숙련 노동자들을 위한 새 기술비자 제도가 조만간 마련될 지 주목된다.

한편 로이터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발생한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공장에 대한 미국 이민단국의 기습 단속과 구금 사태에 대해 "내 입장은 분명하다. 나는 매우 반대했다"고 말했다. 또 '단속에 반대했느냐'는 질문에 "그들을 내보내는 데 반대했다"며 "사실 그들이 떠나기 전에는 이미 상황이 잘 정리되고 있었다. 나는 그들이 머물러도 된다고 말했고, 그들은 다시 돌아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미 이민세관단속국(ICE) 등은 지난 달 4일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공장 건설 현장을 급습해 300명 넘는 한국인을 체포한 뒤 ICE 구금 시설에 일주일간 구금했고 이들은 협상 끝에 석방돼 전세기를 타고 귀국했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