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中 수출통제는 '양날의 검'① A주 핫키워드 '인조다이아'
컨텐츠 정보
- 232 조회
- 25 추천
- 목록
본문
이 기사는 10월 24일 오후 3시2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최근 중국 본토 A주에서 '인조(합성) 다이아몬드'가 관심 투자키워드로 다시금 떠올랐다. 최근 연출되고 있는 인조 다이아몬드 관련 지수 급등세와 일부 테마주의 상한가 랠리가 높아진 시장의 관심을 말해준다.
이 같은 급등세는 최근 중국 당국이 첨단 산업의 전략적 광물 희토류에 이어 인조 다이아몬드도 수출 통제 대상에 포함시킨 데 따른 결과다. 반도체 웨이퍼 절삭과 레이저 광학장비, 초강력 소재 연마 등 첨단산업 영역에서 적극 활용되는 인조 다이아몬드의 투자가치가 향후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주가 상승세로 이어지고 있다.
◆ 희토류 이어 '인조 다이아'도 수출통제
미중 무역갈등이 이어지면서 중국은 첨단산업에 반드시 필요한 핵심 소재와 장비, 기술 등에 대한 수출 통제를 확대하며 공급망을 압박하고 있다.
10월 9일 중국 당국은 홀뮴, 어븀, 툴륨, 유로퓸, 이터븀 등 5종의 희토류를 수출통제 목록에 포함시켰다. 지난 4월 4일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루테튬, 스칸듐, 이트륨 등 7종의 중(重)희토류 수출 통제를 시행한 데 이어 수출 통제를 한층 더 강화한 것이다.
같은 날 오후 중국 상무부는 해관총서와 함께 국무원의 승인을 받아 인조 다이아몬드와 같은 초경질 소재 관련 품목과 리튬이온배터리, 양극재, 인조 흑연 음극재 등의 품목에 대한 수출통제를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그 중 초경질 소재 관련 품목은 △평균 입자 직경이 50마이크론μm(1μm=100만분의 1m) 이하인 인조 다이아몬드 미분말 △평균 입자 직경이 50μm를 초과 및 500μm 이하인 인조 다이아몬드 단결정 △와이어 굵기가 45μm 이하이고 포함된 다이아몬드 입자의 직경이 8μm 이하 등의 조건을 갖춘 인조 다이아몬드 절단용 와이어 톱 △다이아몬드 톱니 경도가 30HRB 이하이고 포함된 다이아몬드 평균 입자 직경이 5μm 이하인 인조 다이아몬드 연마 휠 △직류 아크 플라즈마 분사 '화학기상증착(DCPCVD)' 장비 △DCPCVD 공정 기술 등이다.
◆ 수출통제가 구원투수? '양날의 검' 전망
현재 시장의 최대 관심은 가격 하락에 따른 실적 부진 압박에 직면해 있는 인조 다이아몬드 업계에 있어 이번 수출 통제가 구원투수가 되어줄 수 있을 지이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수출 통제가 불러올 실제 효과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인조 다이아몬드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업종에 속하는 만큼, 이번 수출 통제가 장기간 실적 부진에 빠져있는 인조 다이아몬드 업계를 완전히 구원해줄 수 있을 지는 의문이라는 의견이다.
특히, 미국은 세계 최대의 인조 다이아몬드 소비 시장으로, 수출 통제 조치는 오히려 단기적으로 수출량 감소 리스크를 동반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수출량에 의존하고 있는 중국 업계의 실적 압박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 |
|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10.24 [email protected] |
중국 산업 데이터 제공업체 화징산업연구원(華經產業研究院)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인조 다이아몬드 원석 수출입 총액은 1억2296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2.11% 증가했다. 인조 다이아몬드 완제품 수출입 총액은 1억9460만 달러로 78.09%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번 수출 통제 정책 시행 이후 이러한 흐름은 둔화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나온다.
관건은 가격 회복인데 올해 초 여러 다이아몬드 기업들이 미가공 원석 가격을 10% 이상 인상을 결정하며 수익 하락 압박에서 탈피하기 위한 시도에 나섰으나, 이 또한 실적 회복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이번 인조 다이아몬드 수출 통제 정책은 단기적으로 업계에 '양날의 검'이 될 것이라는 진단이다.
![]() |
| [사진 = 리량다이아 공식 홈페이지] 리량다이아(力量鉆石 301071.SZ)가 생산한 미가공 인조 다이아몬드 원석 이미지. |
◆ 반도체 등 첨단산업 활용 '인조 다이아'
인조 다이아몬드(Man-Made Diamonds)는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Lab Grown Diamonds) 또는 합성 다이아몬드(Synthetic Diamonds)로도 불린다. 천연 다이아몬드와 동일한 탄소 결정체이지만, 인위적 공정을 통해 실험실에서 생산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과거 인조 다이아몬드는 주로 주얼리 시장에서 천연 다이아몬드의 대체재로 인식돼 왔고, 높아진 수요에 힘입어 2024년 4월에는 미국 보석 소매 시장에서 인조 다이아몬드의 시장 점유율이 처음으로 천연 다이아몬드를 넘어 56.8%를 기록하기도 했다.
천연 다이아몬드가 탄생하는데 수억 년 걸리는 반면, 1캐럿짜리 인조 다이아몬드는 단 일주일 만에 제조가 가능하다. 비용은 훨씬 낮고, 품질은 오히려 균일하다.
무엇보다 인조 다이아몬드가 환영을 받는 이유는 가격이 천연 광물보다 저렴하면서도 발열 문제 해결에 강점을 지니고 있어 첨단 반도체 칩 제조에서부터 레이저용 광학장비, 초강력 소재 연마 등에서 핵심 소재로 적극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인조 다이아몬드의 제조 방법은 크게 HPHT(High Pressure High Temperature, 고압고온)과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화학기상증착)의 두 가지 기법이 활용된다. HPHT는 탄소를 고압고온 환경에서 결정화한 것이고, CVD는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에서 수소와 메탄가스를 열원에 반응시켜 다이아몬드를 박막 형태로 합성해 내는 방식이다.
중국은 HPHT 공법을 통한 인조 다이아몬드 영역에서 기술 성숙도가 높고 글로벌 시장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HPHT 공법으로는 완전한 무색의 다이아몬드를 만들기가 어렵지만, CVD 공법으로 제조된 인조 다이아몬드는 높은 순도와 투명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격대가 더욱 높다. HPHT는 연마재와 귀금속 분야에서, CVD는 반도체와 같은 첨단기술산업 분야에서 적극 활용되고 있다.
<中 수출통제는 '양날의 검'②③ A주 핫키워드 '인조다이아'>로 이어짐.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