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GAM]희소성 높은 투자기회① '고성장+저평가+고배당 A주'

컨텐츠 정보

본문

이 기사는 10월 21일 오후 4시4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올해 들어 중국 본토 A주가 눈에 띄게 활기를 되찾은 가운데 향후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높은 '우수실적+저평가+고배당'의 3대 매력을 갖춘 종목의 최신 리스트가 공개돼 주목된다.

현지 기관 다수는 현재 A주 시장이 이미 강세장(불마켓) 국면에 진입한 상태이며, 향후 추가적으로 상승할 여지가 충분히 존재한다는 판단을 내놓는다. 이러한 낙관론 속 우수실적과 고배당 매력이 지지대 역할을 해주는 저평가 종목에서 투자기회를 발굴하는 전략이 조명 받고 있다.

◆ 강세장 속 반등 기대, 초저평가 '포징주'

지난해 9월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증감회)는 '상장사 감독지침 제10호-시가총액 관리(의견수렴안)'을 발표했다. 해당 지침은 장기간 '포징(破凈)' 상태를 지속하는 상장사로 하여금 밸류에이션 제고 계획을 공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해당 계획에는 목표, 기간, 구체적 조치가 포함돼야 하고 연례 실적 설명회에서 이행 현황을 별도로 설명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포징(破凈)주'는 주식의 주당 가격이 주당순자산가치(BPS) 미만으로 하락한 종목을 뜻하는 중국 주식 용어다. 쉽게 주가순자산비율(PBR, 주가/주당순자산)이 1배 미만인 종목으로 설명할 수 있다.

포징주의 비율은 시장의 밸류에이션과 시장 심리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며, 장기적 가치투자 관점에서 중요한 투자방향이 될 수 있다. 과거 A주 시장에서 강세장의 출현은 대개 포징주의 '완전 소멸'과 함께 나타났다. 약세장 조정 흐름이 심화되면 포징주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강세장에서는 포징주가 눈에 띄게 줄어든다. 포징주의 밸류에이션 회복은 진정한 불마켓 단계 진입 시그널로 해석할 수 있다.

올해 들어 저평가 우량주의 밸류에이션이 개선되면서 포징주의 수량은 눈에 띄게 줄었다.

중국 관영 증권시보(證券時報) 산하의 데이터 산출 플랫폼 수쥐바오(數據寶)에 따르면 10월 15일까지 A주 시장의 포징주는 287개로 A주 전체 상장 종목 중 5.2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최고 836개까지 늘었던 것과 비교하면 80% 이상 줄어든 셈이다.

화신증권(華鑫證券)은 보고서를 통해 "현재 A주 시장은 강세장의 중반부에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향후 A주가 강세장 후반부로 접어들며 추가 상승할 여력이 존재한다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속 저평가 포징주 중에서도 실적과 배당 매력까지 갖춘 종목은 향후 밸류에이션이 회복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354b6232f9527397858d48cfe5bbba49-1.jpg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10.21 [email protected]

◆ 3대 기준 부합, 46개 저평가 우량주

287개 포징주(PBR<1배)를 기반으로 3가지 기준에서 저평가된 우량주를 선별한 결과 46개로 압축됐다.

3가지 실적 기준은 △2023년 순이익이 흑자를 기록하고, 2023~2024년까지 순이익이 모두 전년 대비 증가한 종목 △2025년 상반기 순이익이 흑자를 기록하고 전년 동기 대비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종목 △10월 15일 최신 종가 기준, 주가수익비율(PER, 주가/주당순이익)이 30배 미만인 종목이다.

참고로 PER과 PBR은 밸류에이션 평가 지표로, 통상 시장에서는 PER은 10배 미만, PBR은 1배 미만의 경우 저평가돼 있다고 판단한다. 그 중 PBR이 1배 미만이라는 것은 시가총액이 장부상 순자산가치(청산가치)에도 못 미칠 정도로 저평가 돼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46개 종목이 속한 섹터는 은행업이 28개로 가장 많아 전체의 60%를 차지했고 교통운수(6개), 공공서비스(3개), 건축∙장식(3개)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 저평가 우량주 46개 종목은 10월 15일 최신 종가 기준으로 올해 들어 주가가 평균 8.72% 상승하는데 그쳐, 같은 기간 상하이종합지수보다 8%포인트 낮은 상승세를 기록했다.

다만, 일부 종목은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10월 15일 최신 종가 기준으로 중국 국영 농업은행(601288.SH)은 올해 들어 42.26% 상승해 1위를 차지했다. 올해 8월 6일 농업은행은 최고가를 경신하며 공상은행(601398.SH)을 제치고 역대 처음으로 A주 시총 1위주로 올라서기도 했다.

46개 종목 중 7개 종목은 연내 주가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강서감월고속도로(600269.SH)는 연내 9.04%의 가장 높은 낙폭을 기록했다. 강서감월고속도로의 올해 상반기 순이익은 7억64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8% 상승해 큰 밸류에이션 회복 여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희소성 높은 투자기회② '고성장+저평가+고배당 A주'>로 이어짐.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