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탑승권이 사라졌다"…AWS 대규모 장애에 美 항공사 줄줄이 마비

컨텐츠 정보

본문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아마존웹서비스(AWS)의 대규모 장애 여파로 20일(현지시간) 미국 주요 항공사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이 잇따라 마비됐다고 미국 CNBC 등 외신이 보도했다. 이로 인해 델타항공과 유나이티드항공 이용자들은 예약 내역이 사라지거나 체크인이 되지 않는 등의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CNBC에 따르면, AWS는 이날 오전 5시 27분(미 동부시간) 공식 성명을 내고 "복구가 상당 부분 진행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요청이 정상적으로 처리되고 있다"며 "다만 일부 대기 중인 요청(backlog)에 대한 처리를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AWS는 자사 서비스 현황 대시보드에서 "미국 동부 리전(US-EAST-1) 내 다수의 서비스에서 오류율과 응답 지연이 급증했다"고 공지했다. 이 리전은 전 세계 수많은 웹사이트와 앱의 기반이 되는 핵심 데이터센터로, 이번 장애는 여러 산업 분야의 온라인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fd56f27f1d050109e35f8240d15c41a7-1.jpg
아마존웹서비스(AWS) 로고 [자료=블룸버그]

◆ 항공사 앱 '다운'…이용객 "탑승권 안 보여"

항공사들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SNS에는 불만이 쇄도했다. 일부 이용객은 "탑승권이 앱에 표시되지 않는다"거나 "체크인 버튼이 작동하지 않는다"고 호소했다. 일부 공항에서는 이용자들이 카운터로 몰려 수동으로 탑승 수속을 진행해야 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AWS와 같은 클라우드 인프라가 항공 예약·운항 시스템의 중추 역할을 하다 보니, 특정 리전의 장애만으로도 글로벌 항공망이 연쇄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며 "이번 사태는 IT 인프라 의존도가 얼마나 심화됐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지난해엔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오류로 5000편 결항

앞서 지난해 7월에도 사이버보안 기업 크라우드 스트라이크(NASDAQ:CRWD)의 잘못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윈도 시스템 수천 대가 다운되며 전 세계 항공운항이 마비된 바 있다.

당시 델타항공은 5000편 이상 항공편이 결항되고, 항공권 환불과 승객 보상 등에 5억달러(약 6800억원) 이상의 손실을 입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AWS 장애는 그보다 규모는 작지만, 클라우드 인프라 장애가 곧 전 세계 산업의 정지로 이어질 수 있음을 다시 한번 보여준 사건으로 평가된다.

한편 이 같은 소식에 이날 뉴욕 증시 개장 전 아마존(AMZN)의 주가는 소폭 하락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